시험

2. Key Performance Indicator

다인해인해찬 2019. 5. 27. 09:45

- KPI 기본개념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약어로서 핵심성과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기업에서 KPI를 경영상 주요 성과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KPI를 Management System으로서 운용하여 성과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수행,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시행 등 KPI를 근간으로 하는 경영체제를 구축하기도 한다.

<KPI 선정 시 고려사항>

1) 핵심성과지표의 항목은 너무 많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경영전략상의 핵심 성공요인들과 연계되어야 한다.

3) 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변화의 흐름을 알아 볼 수 있어야 한다.

4) 지표는 변경 가능하여야 하고 환경과 전략의 변화에 따라서 재조정 될 수 있어야 한다.

5) 성과관리를 통해 조직원의 성과를 극대화시키고 업무방식과 추진의지를 성과 지향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6) 경영전략과 연계되어 업무 수행성과에 대한 효과적인 책임 구분이 가능하여야 한다.

 

- KPI 모델링 절차

KPI의 개발원칙은 전사적 핵심목표와 부서별 목표, 개인별 목표 간의 연관성을 최적의 상태로 갖도록 하는 것이다. 기업내부의 계층별 상호작용으로 KPI가 최종적으로 정해져야 한다. 우선 경영자가 기업의 전사적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세부조직에 하달한다. 세부조직은 기업의 전사적인 목표에 맞는 조직 별 목표를 설정한다. 세부조직의 구성원들은 조직 내의목표 달성을 위한 개인별 목표를 설정하며 이러한 계층별 목표설정은 상호보완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 전략목표

- 조직 경영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각 팀의 전략방향과 핵심 업무 수행사항에 대한 명확한 전력적 목표 수립한다.

2) 핵심성공요인

- 특정 과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반드시 실행해야 할 중요하고 근본적인 요인들로서 성과달성의 평가항목이 된다. 전사적 조직의 사업목표와 팀 별 사업목표, 개인의 업무목표에서 설정된 성과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3) 핵심성과지표

- 전략목표와 핵심성공요인을 기반으로 핵심성과지표를 정의하여야 한다. 정량적, 정성적인 성과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내포해야 한다. 즉 성과측정이 객관적으로 가능해야 하며, 개인 혹은 팀의 직무를 표현할 수 있는 기준이어야 한다. 또한 조직단위, 팀 단위, 개인단위로 관리가 가능해야 하며, 핵심평가지표들 간에 균형성을 유지해야 한다. 아울러 상하 조직간 연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 참고 : UCI 핵심성과지표(KPI) 개발 )

* CSF : 전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요소이며, 성과달성의 평가항목으로서 부문별 환경변화에 따라 업무수행을 잘 했느냐, 잘못 했느냐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평가 항목이다.

 

https://www.slideshare.net/seouklee/logistics-kpi

 

LOgistics KPI

This is the material that I presented the major conference of Logistics news paper.

www.slideshare.net

 

[ KPI 개발 방법론 및 특징 ]

[ KPI Profiler ]

KPI Profiler를 활용하여 KPI를 도출함으로써 다음 효과 획득 가능

- KPI의 도출, 정량화 및 정확한 communication

- 균형 있는 측정지표의 확보: 선행/후행, 내부/외부, 정성적/정량적

- 데이터 원천, 벤치마크, 타깃, initiative와 관련된 정보 확보

 

Description Module

- KPI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주요 정보 기록: KPI 명, owner 등

- KPI에 대한 기타 주요 상황: 관점, 전략, 목표 등

- 기능과 비즈니스에 걸친 KPI의 비교 및 토론의 촉진

 

Demension Module

- Balance and more balance 가 핵심: 재무적/비재무적 KPI 간 균형

- KPI 간 tradeoff과 측정지표의 범주화(비율, 지수, %, 복합 지수 등)

- KPI Formula 결정

 

Data Profile Module

- 효과적인 KPI의 도출/개발은 데이터의 질에 크게 의존

- “데이터 소스를 확정하는 것”과 “수집의 책임자를 정하는 것”이 중요

- 분석/보고의 빈도 (데이터 소스의 update) 결정

- 동일한 원칙이 지속적으로 적용되어야 함

 

Benchmark & Target Module

- KPI는 독립적이 아니라 종합적인 관점에서 검토되어야 함

- KPI는 관련 회사나 산업의 벤치마크와 비교되어야 함

------------------------------------------------------------------------------------------

KPI Selection에서 Evaluation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각 단계별로 Task를 수행함으로써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완성할 수 있음

*. 평가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