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2. Proof of Concept
    시험 2019. 5. 24. 14:54

    BMT_수행절차.pdf
    0.45MB

    BMT
    https://sw.tta.or.kr/service/bete_sp.jsp

     

    벤치마크테스트(BMT) 절차안내

    벤치마크테스트(BMT) 절차안내 홈 > 시험인증서비스 > 시험인증서비스 절차안내 > 벤치마크테스트(BMT) 소프트웨어 품질성능 평가시험 종합정보시스템:   http://www.swbmt.or.kr 1. 발주기관 의뢰 발주기관은 BMT 대상을 선정하여, TTA에 BMT 수행가능 여부를 문의한 후, BMT 수행 의뢰 공문을 발송합니다. 2. 계획수립 TTA는 BMT 대상 제품군 및 제안요청서 등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발주기관의 의견을 반영하여 BMT 세부

    sw.tta.or.kr

    - 평가기준에 대한 정량적 지표도출 및 관리가 중요함
    - Reference Site 가 없거나 기술적인 확신이 부족할 경우에 시행함

     

    - 테스트를 수행할 모집단의 선정 및 테스트 서비스 시나리오의 효과적인 선택을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중요

     

     

    - 객관성 유지를 위하여 업체별 동일과제 및 조건 유지에 대한 계획과 검토필요.
    - BMT 모델정립, 요구사항 분석, 절차 확립, 대상 및 항목연구, 결과평가 및 검증방안 수립의 프로세스가 필요함.

     

     

    - PoC 개요

       PoC(Proof of Concept)는 고객께서 고려하는 문제가 해결 가능한지 사전에 점검하는 내용입니다.

       (주)굿센은 지금까지 마이크로소프트의 Exchange메세징 솔루션, MOSS(Microsoft Office SharePoint   

       Server) 협업 솔루션, OBA (Office Business Application) 솔루션, PMIS 건설 및 문화재 협업 솔루션,     

       UC(Unified Communication)솔루션 등 신 기술 및 기업환경에 요구되는 다양한 부분에 대해 PoC를 성공 

       적으로 진행하여 왔습니다.

     

    도입효과

       도입 검토하는 분야에 대해 구축 완료 후에 실제적인 시스템을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도입에 따른 기술적, 변화관리적 요소를 사전에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에 따르는 발생 가능한 문제를 사전 점검 및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PoC 프로세스

       PoC(Proof of Concept) 프로세스는 검증할 주요 내용에 대한 목표설정, 커스터마이징, 배포의 순서를 통

       해 개념을 증명합니다.

     

    STEP.1 대상선정

       검증할 주요 내용에 대한 목표 및 기간 설정

    STEP.2 요구사항 결정

       인프라 영향도 체크 및 배포 전략 준비

    STEP.3 설계

       기업환경에 맞는 솔루션 분석 및 계획

    STEP.4 구현

       분석 설계된 내용 커스터마이징

    STEP.5 배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테스트하고 이를 통한 잠재적 문제점을 해결

    STEP.6 테스트

       고객의 요건에 적합한지 여부 확인 및 실제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세스 진행

    STEP.7 본 프로젝트 진행

    BMT/Benchmark Test/성능시험

       - 일반적인 성능시험과는 달리 실제와 같은 동일한 시험환경에서 여러 개의 제품의 성능에 대한 비교시 

         험을 반복해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

       - 제품의 품질 정보가 없을 때 BMT를 통해 존재하는 제품들과 상호 비교해 제품의 품질을 상대적으로

         평

       - 비교 대상 시스템을 표준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성능을 측정, 컴퓨터의 속도나 단위

         시간당 일 처리량 등 수행속도를 비교하는 검사

       - 시스템의 성능 평가의 기준은 고객의 몫

       - 프로젝트 개발의 도입단계에서 RFP에 의한 제안서를 제출한 후보업체가 제출한 시스템을 아키텍처의

         적합성 및 성능 검증을 위한 BMT 테스트 실시 후 테스트 결과를 업체선정의 평가에 반영

       - 이를 통한 제품 선택시 고객의 상황에 맞춰 최적의 제품 선택 가능

       - 선정 여부에 관계없이 후보업체들은 자신들의 시스템의 개선 효과가 있음  

         또한 개발자 입장에서는 이를 준비하면서 단기간 내에 시스템의 구조 및 핵심 기술들의 학습 효과

     

    PoC/Proof of Concept/개념검증

       -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에 대한 제품의 성능과 기능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사용

       - 기존 경쟁제품과의 비교에 이용되는 BMT와 달리,

       - 제품이나 기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할 경우 도입 위험을 완화하고 기술적인 접근방법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확인할 목적으로 실시

       - 프로젝트 개발의 도입단계에서 후보업체에게 원하는 시스템의 기능의 시스템을 제시하도록 하여

         PoC 과정을 거쳐, 평가한 후 도입 여부를 결정

     

    Pilot

       - 원시 프로그램이나 시험 프로그램 등을 시험하는 일.

       - 즉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용하기 전에 오류 또는 부족한 점을 찾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 가동하는 행위

       - 시범테스트 및 통합테스트 단계의 SW 결함측정테스트

     

    prototyping/프로토타이핑/시제품화

       -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의 하나

       - 개발 초기 단계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구현한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

       - 사용자의 시험 사용을 통해서 요구 사항을 분석하거나 요구 사항의 정당성을 검증하고 시제품의

         성능을 평가하여

       - 다음 단계 또는 실용 시스템에 반영

       - 시제품화는 시제품, 시험 사용, 개선 과정을 반복하여 실용판의 사양을 완성해 나가는 기법

       - 전통적인 생명 주기 모델인 폭포수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여 점진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하는 접근 방법

       - 시제품의 시험 사용을 통해 명확하지 않았던 사용자의 요구사항 파악 가능

     

    프로토타이핑의 세가지 유형

       - 탐험적 프로토타이핑: 요구사항의 명확한 파악을 위함. 내부 구현은 중요하지 않음. 개발 후 폐기

       - 실험적 프로토타이핑: 요구된 S/W의 기술적 구현 여부 판단을 위함. 개발 후 폐기

       - 진화적 프로토타이핑: 분석도구로 이용 후, 지속적으로 발전 시켜 원하는 소프트웨어로 만들어 나감

     

                                 [ PoC / Polot Test / BMT 의 차이점 비교 설명 ]

     

     

     

    PoC 도입효과

    • 도입 검토하는 분야에 대해 구축 완료 후에 실제적인 시스템을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도입에 따른 기술적, 변화관리적 요소를 사전에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 새로운 기술에 따르는 발생 가능한 문제를 사전 점검 및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PoC프로세스

    PoC(Proof of Concept) 프로세스는 검증할 주요 내용에 대한 목표설정, 커스터마이징, 배포의 순서를 통해 개념을 증명합니다.

     

     

     

    [POC 수행]


    아키텍처정의에 대한 개념 및 수행능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1. 수행절차


    1. 기술검증 설계 시 정의한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2. 기술검증 설계 문서를 기반으로 기술검증 개발을 수행한다.
    3. 완료된 개발 산출물로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하고 결과를 측정한다.

    2. 수행가이드


    1. 고객이 요구하는 경우에 수행한다.
    2. 기술검증 개발은 직접 개발 외 다른 방법으로 기술검증이 어려운 경우 또는 기술검증 개발 결과물이 본 과제 구현에서 재활용 될 수 있는 경우 수행을 권장한다.
    3. 기술검증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기간과 공수는 과제 착수 시 명확하게 계획하고 관리하여 자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한다.
    4. 테스트를 통해 통계적 결과(수치)를 도출하고자 하는 경우 충분한 반복 수행을 통해 결과 데이터의 신뢰성을확보한다.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Key Performance Indicator  (0) 2019.05.27
    1-1 DW구축개요, DW구축방법론, OLAP  (0) 2019.05.27
    DW + Hadoop  (0) 2019.05.23
    마이닝  (0) 2019.05.22
    Big 데이터 활용 단계별 업무절차, 분석/예측  (0) 2019.05.22
Designed by Tistory.